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9살 아들이 수학을 싫어할 때 해본 3가지 방법

by 팩트만말해 2025. 4. 10.
반응형

“수학은 재미없어!”, “왜 이런 걸 배워야 해?” 초등 3학년이 된 아들이 수학 문제만 보면 한숨부터 쉬기 시작했습니다. 억지로 문제집을 펴게 해도 집중은 오래가지 않고, 틀린 문제는 더 큰 스트레스로 돌아왔죠.

이 글에서는 수학을 싫어하던 9살 아이가 부담 없이 수학과 가까워지도록 도왔던 세 가지 실제 방법을 소개합니다. 같은 고민을 겪는 부모님들께 작지만 효과적인 팁이 되길 바랍니다.

 

왜 수학이 싫어졌을까?

수학에 대한 거부감은 대부분 실패 경험, 문제 해결의 압박감, 혹은 ‘틀리면 안 된다’는 두려움에서 시작됩니다. 특히 9살 전후의 아이들은 자기 평가 능력이 생기며 실수에 민감해지고, 반복되는 오답은 ‘나는 수학을 못 해’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.

중요한 건 수학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, 수학을 대하는 아이의 감정과 접근 방식입니다. 문제풀이보다 '수학을 즐길 수 있는 경험'이 먼저 필요합니다.

 

방법 1: 수학을 생활 속 놀이로 바꾸기

공부가 아닌 놀이로 수학을 접하면 아이의 긴장감은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. 우리 아이와 했던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마트 놀이: 물건에 가격표 붙이고 계산 놀이
  • 주사위 게임: 눈금 더하기, 빼기 게임
  • 요리 활동: 재료 계량, 비율 맞추기

이런 활동을 통해 아이는 숫자에 대한 감각을 자연스럽게 키웠고, ‘수학은 재미없는 과목’이라는 인식도 점점 사라졌습니다.

 

방법 2: 실패보다 '과정'에 초점 맞추기

처음부터 정답을 요구하기보다, 생각의 과정을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했습니다. 틀려도 괜찮다고 말하며 아이가 논리적으로 생각한 과정을 들어주는 연습을 했습니다.

  • "왜 이렇게 계산했는지 설명해줄 수 있어?"
  • "이 방법 말고 다른 방법도 있을까?"

틀렸다는 사실보다 스스로 생각하고 표현한 경험이 쌓이면서 아이의 자신감이 살아났고, 점점 수학 문제에 도전하는 태도가 생겼습니다.

 

방법 3: 교과서 밖 문제로 흥미 유도하기

문제집에만 갇히면 수학은 금세 지루해집니다. 그래서 다음과 같은 교과 외 활동을 시도했습니다.

  • 수학 동화책 읽기: ‘수학도깨비’, ‘기발한 수학책’ 등
  • 보드게임 활용: 루미큐브, 할리갈리, 수 싸움 게임 등
  • 웹사이트 활용: 연산 게임, 사고력 퍼즐 문제

이런 접근을 통해 수학은 ‘문제푸는 시간’이 아닌 ‘놀이 시간’으로 인식되었고, 호기심이 자극되며 흥미도가 눈에 띄게 올라갔습니다.

 

부담 없이 수학에 익숙해지는 환경 만들기

수학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필요한 건 지적이 아니라 경험의 전환입니다. 다음과 같은 환경 조성을 함께 했습니다.

  • 문제 풀이 시간보다 함께 대화하는 시간 늘리기
  • 틀려도 혼내지 않고 "이해하는 중이구나"라고 반응
  • 적은 양이라도 스스로 풀었다면 크게 칭찬
  • 수학 용어는 쉽게 풀어 아이 말로 바꿔주기

수학은 '정답'보다 '자신감'으로 시작됩니다. 억지보다 흥미, 속도보다 반복이 먼저입니다.

 

수학은 이기는 과목이 아니라 익숙해지는 과목입니다

아이의 수학 싫어함은 단지 성향이나 게으름의 문제가 아닙니다. 수학과의 첫 만남이 부담이었는지, 즐거움이었는지가 그 이후 태도를 좌우합니다.

놀이처럼 시작하고, 실수도 배우는 과정이라 여긴다면 아이는 조금씩 수학과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. 오늘부터 하루 10분, 재미있게 숫자를 마주해보세요. 그 작은 변화가 큰 전환점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자주 묻는 질문 (Q&A)

Q. 아이가 수학 문제를 자꾸 틀리면 혼내도 되나요?

혼내기보다 왜 틀렸는지를 함께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아이는 실수를 통해 배우며, 부정적인 피드백은 수학에 대한 두려움만 키울 수 있습니다.

Q. 수학 공부를 싫어하는데 학원에 보내야 할까요?

학원은 아이가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질 때 도움이 됩니다. 그 전에는 가정에서 흥미를 키우는 활동이 우선입니다.

Q. 연산 실수가 많아도 개념부터 가르쳐야 하나요?

기초 연산이 불안하면 연산부터 탄탄히 잡는 것이 좋습니다. 단순 반복이 아닌 놀이 방식으로 접근하면 부담이 줄어듭니다.

반응형